레빗(REBIT)은 입력 솔루션인 REBIT Keyboard(빅데이터 수집)와 인공지능 솔루션인 Phoenix(빅데이터 분석∙활용)에 블록체인을 융합하여 다양한 데이터 기반의 사업으로 확장해 나가는 플랫폼입니다. 레빗 솔루션은 데이터 산업과 디지털 광고 산업에 새로운 청사진을 제시할 것이며 가치의 생산과 재분배의 유기적인 비즈니스 관계를 형성하여 생태계 참여자 모두가 WIN-WIN 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습니다.
레빗의 생태계는 레빗의 입력 솔루션인 레빗키보드를 사용하는 "사용자(user)", 레빗의 데이터를 사용하는 "파트너(구매자)", 레빗의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솔루션인 "피닉스(Phoenix)" 총 3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구성원들은 레빗 내 다양한 활동과 협력 관계를 통해 서로에게 도움을 주며 가치의 생산과 재분배의 유기적인 비즈니스 관계를 형성합니다.
레빗의 첫 번째 입력 솔루션인 REBIT Keyboard는 2013년부터 개발된 핸드폰과 각종 스마트 기기에 사용되는 가상키보드 및 입력 솔루션입니다. 전세계 모든 모바일 기기 대응, 140개 언어 지원, 자동 추천과 교정 등 진일보한 REBIT Keyboard는 삼성전자 Galaxy S 8~10의 기본 키보드로 탑재될 정도로 그 기술력이 검증되었습니다. 2018년 11월부터 구글 스토어를 통해 본격적인 서비스에 들어간 REBIT Keyboard는 2019년 9월 기준 일 사용자(DAU)는 40,000명이며 2019년 2분기부터 다양한 업체와의 제휴를 통해 사용자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140개 언어 지원
인공 신경망(Neural Network) 기술
자동 교정과 보정
200종 이상의 키보드 레이아웃
모든 모바일 기기 대응
REBIT Keyboard에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시킨 돈버는 키보드 “캐시보드”. 캐시보드 사용자들은 스마트기기의 키보드만 사용해도 타이핑 증명 토큰인 키보드토큰(KEYT)를 획득할 수 있습니다. 실생활에 블록체인 기술이 가장 쉽고 편하게 적용된 캐시보드는 2019년 10월 국내 서비스를 시작으로 연내 글로벌 서비스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캐시보드를 사용하고 획득한 포인트와 토큰이 보관되며 입출금이 가능한 지갑입니다. 지갑기능 외에 쇼핑, 충전, 게임 등 다양한 기능의 플랫폼 역할을 하게 되며 인증 과정을 통해 가입이 가능합니다.
레빗의 인공지능 솔루션인 피닉스(Phoenix)는 사용자들의 관심사나 의도 등의 행동 데이터를 분석하고 미래 행동을 예측하기 위해 2013년에 개발된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 솔루션입니다. 분석된 데이터는 12개 대분류/144개 소분류로 분리 후 시각화되어 표현되며 관심사나 의도 등의 행동패턴을 분석하여 다양한 데이터 사업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카테고리
12개의 대분류와 144개의 소분류
인공지능 기반 Interest Classification
IR-based (Information Retrieva based) Recommendation
Look-alike Targeting
사용하는 App 또는 플랫폼 별 카테고리
레빗 플랫폼은 레빗 지갑을 중심으로 구성되며 입출금 외에 다양한 컨텐츠를 즐길 수 있도록 확장시켜 나갈 계획입니다. 지갑에는 레빗 솔루션의 사용과 기여도에 따라 획득한 레빗 화폐인 키보드 토큰(KEYT), 키보드캐시(KEYC), 키보드포인트(KEYP)가 개별 보관되며 레빗 화폐를 사용하여 다양한 쇼핑과 디지털 컨텐츠 구매가 가능합니다.
레빗의 사업 모델은 레빗 솔루션을 활용한 데이터 기반의 사업으로 크게 데이터 관련 사업과 디지털 광고사업으로 구성됩니다. 기업의 제품과 서비스에 레빗 솔루션을 접목시켜 기업들은 보다 쉽고 빠르게 데이터를 수집하고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기업은 제품의 개발과 마케팅 고객 운영 등 모든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한 고부가 가치 창출과 신규 사업이 가능하게 됩니다. 또한 사용자 레벨의 심층적 분석을 통한 Audience Targeting으로 정교한 디지털 광고가 가능하게 됩니다. 유저의 의도와 패턴 분석을 통한 제품 광고는 광고가 아닌 유용한 정보가 될 것이며 이를 통한 높은 전환율과 리텐션의 광고 상품은 광고주들에게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매체가 될 것입니다.
레빗의 이코노미는 키보드포인트(이하 KEYP), 키보드토큰(이하 KEYT), 키보드캐시(이하 KEYC) 로 구성됩니다. 레빗 생태계에 참여하는 모든 구성원들은 레빗 서비스와 기여도에 따라 각기 다른 재화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이코노미 구조로 협력 관계를 통한 성장을 구현하면서 유저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독려합니다. 획득한 재화는 레빗 지갑에서 보관/사용되며 레빗 지갑은 캐시보드가 메인 키보드로 활성화 되어야만 사용이 가능합니다.
사용자들의 행동 패턴들로 구성된 빅데이터에 가치를 부여하고 사용자와 파트너 모두에게 보상하는 REBIT 생태계는 가치 생산과 재분배의 "생태계 성장 엔진"을 추구합니다. 또한 광고/쇼핑/게임 외에 실시간 검색 등의 "실시간 서비스", 전자투표 등의 "사용자 참여형 서비스", 콘텐츠 배포가 가능한 "블록체인 마켓" 등 REBIT 플랫폼은 기존의 단일화된 사업 모델에 블록체인의 장점을 결합하여 다양한 산업 분야로의 진출을 가능하게 만들어 줍니다.
레빗의 핵심 기술력은 입력 솔루션인 REBIT Keyboard와 인공지능 솔루션인 Phoenix로 아래와 같이 구성 되어 있습니다. 또한 정교한 타겟 마케팅을 위한 매칭 관련 광고 기술도 보유하고 있습니다.
병음/한자 변환, 단어 추천 및 오타 교정 등의 키보드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해 개발된 언어모델 생성 Toolkit으로, 인공지능 기술의 융합과 자동화된 Process로 신속하게 성능을 개선하며 자동화 검증이 가능합니다.
N-Gram방식의 통계 학습 기반의 언어 모델에서 발전된 기술인, 인공신경망 방식(Neural Network)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의도와 문장의 문맥을 인지하여 적절한 단어를 추천하는 최신 기술이 적용되었습니다.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시스템을 통해 정밀한 타겟 광고를 목표로 하는 레빗의 AD Tech는, 타겟 마케팅을 위한 DMP(Data Management Platform), 수요자 연결 위한 DSP(Demand Side Platform), 매개체 플랫폼인 SSP(Supply Side Platform)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레빗의 전신인 필아이티는 DAU 2억명, MAU 9억명의 접속자를 보유한 글로벌 AD 네트워크 업체인 예모비와 2018년 AD테크 사업을 위한 계약을 체결하며 그 기술력을 검증 받았습니다.
REBIT의 핵심 기술들은 8종의 국내 특허 및 PCT를 통하여 글로벌 진출을 하고 있으며, 법적인 보호를 받고 있습니다.